반응형
💡 자신이 행하는 일은 엄격하게, 남의 것을 받아들일 때는 관대하게 해야 한다.
인터페이스나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안정성과 접근성을 보장해야 하며, 사용자의 입력은 포맷이나 입력 매커니즘을 막론하고 무조건 수용해야 한다.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정보의 양을 보수적으로 책정해야 한다.
- 사용자가 채워야 할 필드가 늘어나면 의사결정 피로감으로 정보의 품질이 떨어진다.
- 중복요청을 피한다.
반응형 웹디자인 → 기기 맞춤형 + 웹의 유동적 특성
점진적 향상: 콘텐츠에 초점을 맞추고 스타일과 인터랙션을 점진적으로 쌓아가는 전략을 말한다.
- 다양한 사용자를 관대하게 수용할 수 있다.
- 핵심 콘텐츠를 지키면서 향상된 기능을 보수적으로 추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디자인 시스템
-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와 패턴의 집합이다.
- 사용 방법을 정의한 표준에 따라 컴포넌트와 패턴을 조합해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고, 프레임워크를 통해 디자인의 확장성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 가이드라인, 컴포넌트, 패턴, 원칙 등 모든 것이 명확하고 단호해야 한다.
- 예: Google Material Design
사용자가 시스템에 입력하는 내용은 가변적이고 광범위하기 때문에,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보장하려면 입력을 너그럽게 수용하는 시스템을 디자인해야 한다.
반응형
'Development > Front-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UI/UX] 심미적 사용자 효과 (0) | 2023.11.21 |
---|---|
[UI/UX] 피크엔드 법칙 (0) | 2023.11.16 |
[UI/UX] 밀러의 법칙 (0) | 2023.11.09 |
[UI/UX] 힉의 법칙 (0) | 2023.11.07 |
[UI/UX] 피츠의 법칙 (0) | 2023.11.02 |